반응형 전체 글69 경제용어 국제수지 국제수지의 경제적의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시간에 알아본 예수금에 이어 경제용어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 국제수지와 국제수지가 가지고 있는 경제적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수지란?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 BOP)는 한 나라가 일정 기간 동안 외국과 주고받은 경제적 거래를 기록한 통계를 의미합니다. 국제수지는 그 나라의 경제가 얼마나 국제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대외 경제 활동에서 얻은 이익과 지출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국제수지의 주요 구성 국제수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경상수지와 자본·금융계정 1. 경상수지(Current Account): 경상수지는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 수익, 이전 소득과 같은 실제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지출을 나타냅니다. 경.. 2024. 10. 27. 경제 회계 용어 예수금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융기관이나 증권사에 예치된 금액을 의미하는 예수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수금이란?특정 목적으로 사용되기 전까지 고객의 계좌에 보관되어 있는 돈을 가리킵니다. 예수금은 특히 증권 거래, 금융 거래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 예수금의 주요 특징1. 증권 계좌에서의 예수금: 주식 거래 계좌나 펀드 계좌 등에서 고객이 입금한 돈이지만 아직 주식이나 금융 상품에 투자되지 않은 금액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증권 계좌에 입금해 놓은 금액이 있지만 아직 주식을 매수하지 않았거나 주식을 매도한 후 출금하지 않은 경우, 그 금액이 예수금으로 표시됩니다. ■미결제 금액이란?- 미결제 금액: 주식을 매도했지만 아직 결제가 완료되지 않은 금액도 예수금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주식 거.. 2024. 10. 26. 은행 주택담보대출 DSR 규제강화 안녕하세요 지난시간 주택담보대출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았다면 오늘은 2024년 대한민국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여러 요인으로 인해 상당히 어려워진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주요 원인으로는 금리 인상, 대출 규제 강화, 부동산 경기 악화 등이 꼽힙니다.아래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최근의 상황을 설명하겠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이 어려워진 주요 원인들1. 금리 인상한국은행은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계속 인상해 왔습니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크게 올랐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주담대 금리는 5~6% 수준에 이르렀으며, 일부 고정금리 대출은 7%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대출을 신규로 받거나 기.. 2024. 10. 24. 대출용어 이해하기 - 중도금대출 주택담보대출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시장에서 꼭알아야하는 중도금대출과 주택담보대출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중도금대출이란?중도금 대출은 주택, 상가 등의 분양을 받은 사람이 계약금을 낸 후 중도금을 납부할 때 자금 부담을 덜기 위해 활용하는 금융상품입니다. 분양 계약 이후 분양가는 계약금, 중도금, 잔금 순으로 나뉘어 납부하게 되는데, 대부분 계약금은 본인 자금으로 마련하고 중도금은 대출을 통해 충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주택 분양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며, 대출이 비교적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편입니다. 중도금 대출의 대출 한도는 분양금액의 50~60% 수준이며, 일부 경우 70%까지 가능하기도 합니다. 대출금은 보통 분양 공정에 따라 3~6회 분할로 나눠 지급되며, 중도금 납부 시점마다 지급됩니다. .. 2024. 10. 24. 실업 - 실업이 발생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아이에게 실업문제에 관하여 설명해 주고 싶을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실업문제란 무엇인지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이란?실업은 사람들이 일하고 싶어도 일을 찾지 못하는 상태를 말해요. 사람들이 직업을 가지면 돈을 벌 수 있고, 그 돈으로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있기 때문에 일하는 것은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하답니다. 실업이 왜 생기는지에 대해 이해하려면, 몇 가지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 실업이 발생하는 이유1. 경기 침체경제가 어려워지면, 회사들은 물건을 덜 팔고 돈을 적게 벌게 됩니다. 그러면 회사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직원들에게 줄 돈이 부족해서 사람들을 해고하거나 새로운 사람을 고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렇게 회사에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실업자가 생겨나게 됩니다.2.. 2024. 10. 23. 교환경제 공유경제 P2P 안녕하세요오늘은 우리아이 돈 공부를 위해 교환경제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교환경제란?교환경제(barter economy)는 돈을 매개로 하지 않고 재화나 서비스를 직접 교환하는 경제 시스템입니다. 가장 원초적인 형태의 경제라고 할 수 있으며, 화폐가 발명되기 이전의 고대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교환경제에서는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재화나 서비스와 다른 사람들이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교환함으로써 생계와 생활을 유지합니다. ■ 교환경제의 핵심원리?교환경제의 핵심 원리는 상호 필요성입니다.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밀가루를 갖고 있고 B라는 사람이 옷을 만들 수 있다면, A는 자신의 밀가루와 B의 옷을 교환하여 각자 필요한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화폐가 존재하지 않.. 2024. 10. 23.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