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은맘의 경제일기 오랜만에 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가 04.02일에 공표가 되었습니다. 발표가 되자마자 주식시장은 폭락하며 불안정한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투매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글로벌 금융시장,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후 대혼란
2025년 4월 3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팬데믹 초기 이후 최악의 혼란을 겪었습니다.
그렇다면, 상호관세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상호관세란?
모든 국가에 기본 10% 관세 부과, 무역적자가 큰 나라에는 추가 관세.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무역전쟁 격화로 이어짐.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경제에 타격.
트럼프의 이러한 발언으로 발표가 되자마자 시장은 즉각적으로 반응을 보였습니다.
시장 반응 요약 🔻
🔻 미국 증시 대폭락
다우지수: -3.98% S&P 500: -4.84%
나스닥: -5.97% 하루 만에 시가총액 3조 달러 이상 증발 (약 4,500조 원)
대형 기술주(애플, 엔비디아)·소비재(나이키, 갭 등) 급락
🔻 유럽·아시아 증시도 동반 하락
유로스톡스50: -3.57%
독일 DAX: -3.08%, 프랑스 CAC: -3.31%
일본 닛케이: -2.77%
베트남 VN지수: -6.68% (역대 최대 낙폭) → 베트남엔 46% 관세 부과
📉 원자재·외환시장
국제유가: -6.64%
국제 금값도 하락 (차익실현·유동성 우려)
달러 약세, 유로·엔 강세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 4.05%로 하락
변동성지수(VIX): 30.2로 급등
⚠️ 상호관세로 인한 경제적 영향
무역전쟁 심화 → 보복관세 유발, 글로벌 교역 위축
기업 실적 악화 → 공급망 해외 의존 기업들 특히 큰 타격 (기술·소비재 등)
시장 신뢰 저하 → 주식시장 투매, 안전자산 선호 확산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레버리지 투자자 마진콜 우려 → 자산 매도 → 유동성 부족 심화
개인적인 생각
솔직히 말해서, 이번 상호관세 조치는 굉장히 리스크가 큰 도박 같다는 생각이 없지 않아 들었습니다.
미국 입장에서는 자국 산업 보호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강수를 둔 걸 수도 있지만, 전 세계 공급망이 얽히고설킨 지금 시대엔 부메랑처럼 돌아오는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을수도 있지않을까 라는 우려가 되는게 현실입니다.
실제로도 하루 만에 미국 기업 시가총액이 3조 달러나 날아갔으니까요. 그것도 ‘해방의 날’이라는 자평과는 정반대 결과인듯 보입니다. 또 하나 무서운 건 투자자들의 심리가 확 꺾였다는 점인데. .
피터 투즈가 말한 것처럼 “미래에 대한 관점을 재설정했다”는 건 그냥 단기 충격이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기업들의 실적, 소비 심리, 투자 계획 모두 위축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무역전쟁은 이기는 사람이 없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닌것 같습니다. 모두가 손해를 보고, 그중에도 가장 개방적이고 글로벌한 시장일수록 충격이 근데. 결국 미국 시장이 제일 많이 맞은 것도 그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너무 급진적인 정책은 시장의 예측 가능성을 낮추고, 그게 결국은 투자도, 고용도, 소비도 얼어붙게 만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입장에서 장기적으로 미국주식을 매수 하는 입장에서 하락하는 추세일때 많이 매수하는 건 좋은 투자라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뉴스] 원/달러 환율 하락 - 미국 물가 안도 영향 (0) | 2024.12.23 |
---|---|
2024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일괄제공서비스 및 소득공제 항목정리 (0) | 2024.12.05 |
예금보호 한도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오름 '돈흐름' 바뀔까? (0) | 2024.11.25 |
미국 증시 하락과 소비 지표 발표, 금리 인하 전망의 변화 (0) | 2024.11.16 |
트럼프 당선 후 테슬라(TESLA) 관련 중국 주식 급등 (0) | 2024.11.08 |